Argos MDM Agent

Argos MDM Agent 전문가 개요

1. 개요 (Overview)

Argos MDM Agent는 기업의 모바일 단말기(Mobile Device)를 중앙에서 통합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MDM(Mobile Device Management) 에이전트입니다.

  • 디바이스: Android / iOS 스마트폰 및 태블릿
  • 주요 기능: 보안정책 적용, 위치 추적, 원격 제어 등
  • 서버 연동: Argos MDM 콘솔과 통신

2. 사용법 (Usage Guide)

  1. 기기에 Agent 설치 (APK, Store 또는 MDM 포털)
  2. 초기 실행 시 등록 코드 또는 서버 주소 입력
  3. 기업 인증 절차 (계정 로그인 / OTP 등)
  4. 정책 자동 수신 및 기기 제어 시작

3. 주요 기능 (Key Features)

A. 보안 및 정책 관리

기능설명
기기 잠금원격에서 디바이스 잠금 수행
원격 초기화기기 분실 시 데이터 완전 삭제 (Factory Reset)
암호 정책복잡도, 길이, 변경 주기 설정
앱 제어화이트리스트 기반 허용 앱만 사용 가능
루팅 감지비정상 루팅/탈옥 상태 자동 탐지

B. 자산 및 사용 모니터링

기능설명
상태 보고배터리, 네트워크, 저장공간 등 실시간 수집
앱 목록설치된 앱 정보 수집 및 분석
위치 추적GPS 기반 위치 조회
네트워크 상태Wi-Fi, 셀룰러 연결 상태 보고

C. 원격 제어 및 지원

기능설명
스크린 미러링관리자가 기기 화면 실시간 확인 가능
명령 실행원격 스크립트 실행 및 설정 변경
푸시 메시지중요 공지사항 실시간 발송

D. 업무/개인 분리

기능설명
컨테이너 기능업무용 앱/데이터만 격리된 공간에서 운영
보안 앱 배포기업 전용 앱스토어 운영

4. 통신 방식

  • 주기적 서버 통신 (기본 5~15분 주기)
  • TLS 암호화 기반 안전한 통신
  • 정책 변경, 위치 이동 등 이벤트 발생 시 즉시 보고

5. 로그 및 진단

  • 에이전트 로그 자동 수집 및 서버 전송
  • 관리 콘솔에서 필터 및 검색 가능

6. 커스터마이징 및 확장

  • UI/로고 커스터마이징 지원
  • REST API 제공 (타 시스템 연동 가능)
  • 앱 배포 기능 내장 (사내 앱스토어 운영)

7. 산업별 활용 예시

산업활용 예시
제조업현장 단말기 잠금, 위치 추적
금융권암호화, 앱 제한, 탈옥 탐지
물류배송 차량 단말 위치 모니터링
교육기관학생 태블릿 앱 제한, 웹 필터링

8. 장단점 요약

  • 장점: 보안성, 원격 관리, 유연한 확장성
  • 단점: 초기 설정 복잡, 일부 기기 제한
IP 구조 및 기본 개념

IP 구조 및 기본 개념

1. IP 기본 개념

IP(Internet Protocol)는 인터넷 상에서 장치 간의 통신을 관리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하기 위한 주소 지정 방식을 제공합니다.

  • IP 주소: 각 네트워크 장치에 고유하게 할당되는 식별자입니다.
  • IPv4: 32비트 주소 체계로, 약 43억 개의 고유 주소를 제공합니다.
  • IPv6: 128비트 주소 체계로, 사실상 무한에 가까운 주소를 제공합니다.

2. IP 주소 구조

IP 주소는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뉘며, 이 두 부분은 네트워크의 크기와 구조에 따라 결정됩니다.

IPv4 주소

IPv4 주소는 32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네 개의 옥텟(octet)으로 표현됩니다. 각 옥텟은 8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0부터 255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시: 192.168.1.1

IPv6 주소

IPv6 주소는 128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8개의 16진수 그룹으로 표현됩니다. 예시: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

3. 서브넷 마스크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를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누는 역할을 합니다. 서브넷 마스크는 일반적으로 255.255.255.0과 같은 형태로 표현됩니다.

  • 네트워크 주소: 서브넷 마스크와 IP 주소의 AND 연산 결과로, 해당 네트워크의 시작점을 나타냅니다.
  • 호스트 주소: 네트워크 내에서 고유한 호스트를 식별하는 부분입니다.

4. IP 클래스

IP 주소는 여러 클래스에 따라 분류됩니다. 각 클래스는 네트워크의 크기나 용도에 따라 구분됩니다.

  • 클래스 A: 1.0.0.0 - 127.255.255.255, 대형 네트워크에 사용됩니다.
  • 클래스 B: 128.0.0.0 - 191.255.255.255, 중형 네트워크에 사용됩니다.
  • 클래스 C: 192.0.0.0 - 223.255.255.255, 소형 네트워크에 사용됩니다.

5. IP 라우팅

IP 라우팅은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할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라우터는 목적지 IP 주소에 따라 데이터를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 정적 라우팅: 관리자가 수동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 동적 라우팅: 라우터가 자동으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감지하여 라우팅 경로를 조정합니다.

6. 전문가 수준의 IP 지식

전문가 수준에서는 IP 주소의 세부적인 관리와 최적화 기술, 고급 라우팅 프로토콜,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VLSM(Variable Length Subnet Mask) 등을 다루게 됩니다.

  • NAT: 여러 장치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공유하도록 해주는 기술입니다.
  • VLSM: 서브넷 마스크의 길이를 유연하게 조정하여 IP 주소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기술입니다.
  • BGP: 대규모 네트워크 간에 경로를 교환하는 고급 라우팅 프로토콜입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TIME Ring-AX3000 설정 가이드  (1) 2025.07.14
MAC ADDRESS  (0) 2025.04.21
OSI 7 Layer  (0) 2025.04.21
MAC 주소에 대한 상세 설명

MAC 주소에 대한 상세 설명

MAC 주소 (Media Access Control Address)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또는 네트워크 장비에서 하드웨어적으로 고유한 식별자입니다. 이 주소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서 장치를 식별하고, 물리적인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사용됩니다.

MAC 주소의 구조

MAC 주소는 48비트(6바이트) 길이로 구성됩니다. 이 48비트는 12개의 16진수로 표현되며, 두 개의 6자리 숫자로 나누어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00:14:22:01:23:45와 같은 형식입니다.

MAC 주소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앞 3바이트 (24비트): OUI (Organizationally Unique Identifier) — 제조업체를 고유하게 식별합니다.
  • 뒤 3바이트 (24비트): NIC 고유 식별자 — 특정 장비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MAC 주소의 형식

MAC 주소는 보통 3가지 형식으로 표시됩니다:

  • XX:XX:XX:XX:XX:XX (구분자로 콜론)
  • XX-XX-XX-XX-XX-XX (구분자로 하이픈 사용)
  • XXXXXXXXXXXX (구분자 없이 12자리 연속 숫자)

MAC 주소의 종류

MAC 주소는 다음과 같은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유니캐스트(Individual MAC Address): 특정 네트워크 장치를 가리키는 고유한 주소입니다.
  • 브로드캐스트(MAC Broadcast Address): FF:FF:FF:FF:FF:FF와 같은 주소는 네트워크 내의 모든 장치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브로드캐스트 주소입니다.
  • 멀티캐스트(MAC Multicast Address): 특정 그룹의 네트워크 장치에만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01:00:5E:XX:XX:XX와 같은 형식이 있습니다.

MAC 주소의 할당 및 사용

MAC 주소는 보통 제조업체에 의해 할당되며,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로부터 OUI를 할당받습니다. 이 OUI는 장치의 MAC 주소에서 첫 3바이트를 차지합니다.

또한, 네트워크 장치의 MAC 주소는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를 흔히 "MAC 주소 스푸핑"이라고 하며, 보안상 또는 네트워크 제어상 필요에 의해 사용됩니다.

MAC 주소 변경

MAC 주소는 물리적으로 하드웨어에 기록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리눅스에서는 ifconfigip link 명령어를 사용하여 MAC 주소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MAC 주소의 보안

MAC 주소는 보안 측면에서 몇 가지 우려 사항을 가지고 있습니다:

  • MAC 주소 스푸핑: 공격자가 자신의 MAC 주소를 변경하여 특정 장치인 것처럼 위장할 수 있습니다.
  • MAC 주소 추적: Wi-Fi 네트워크나 이동통신망에서 사용자의 이동을 추적하는 데 이용될 수 있습니다.

MAC 주소 필터링

네트워크에서 MAC 주소를 필터링하여 특정 장치만 접근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보안 방법이 있습니다. 이는 라우터나 스위치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지정된 MAC 주소 목록에 포함된 장치만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합니다.

MAC 주소와 IP 주소의 차이

MAC 주소: 하드웨어적 식별자이며, 네트워크 장치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각 장치마다 고유합니다.

IP 주소: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논리적 주소로,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해 장치들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IP 주소는 네트워크의 경로를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MAC 주소의 활용

MAC 주소는 네트워크 관리, 보안, 그리고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와 같은 프로토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ARP는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며, 네트워크에서 장치 간 통신을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TIME Ring-AX3000 설정 가이드  (1) 2025.07.14
IP 구조 및 기본 개념  (0) 2025.04.21
OSI 7 Layer  (0) 2025.04.21
네트워크 7계층

OSI 모델: 네트워크 7계층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은 컴퓨터 네트워크의 통신 프로세스를 7개의 계층으로 나눈 모델입니다. 각 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의 특정 기능을 담당합니다. 아래에서 각 계층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물리 계층은 실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하드웨어적 요소를 다룹니다. 이 계층은 전기적 신호, 전송 매체, 케이블 등의 물리적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 기능: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기적/기계적 연결
  • 프로토콜: IEEE 802.3 (이더넷), IEEE 802.11 (Wi-Fi)
  • 예시: 케이블, 리피터, 스위치

2.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적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오류 검출 및 수정, MAC 주소 기반 통신을 담당합니다.

  • 기능: 데이터 오류 검출, MAC 주소 관리
  • 프로토콜: Ethernet, PPP (Point-to-Point Protocol), ARP
  • 예시: 스위치, MAC 주소

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경로를 선택하고 라우팅을 담당합니다. IP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 기능: 데이터 경로 선택 및 라우팅
  • 프로토콜: IP (Internet Protocol),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예시: 라우터, IP 주소

4.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은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고 흐름 제어 및 혼잡 제어를 통해 데이터의 순서와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 기능: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보장
  • 프로토콜: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 (User Datagram Protocol)
  • 예시: 포트 번호, TCP 연결

5. 세션 계층 (Session Layer)

세션 계층은 통신하는 두 시스템 간의 세션을 관리하고, 데이터 동기화와 복구 기능을 제공합니다.

  • 기능: 통신 세션 관리
  • 프로토콜: RPC (Remote Procedure Call), SMB (Server Message Block)
  • 예시: 로그인 세션, API 호출

6.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은 데이터 형식 및 표현 방식을 정의하며, 암호화, 압축 및 데이터 변환을 담당합니다.

  • 기능: 데이터 형식 변환, 암호화, 압축
  • 프로토콜: SSL/TLS, JPEG, MPEG
  • 예시: ASCII, JPEG, SSL/TLS 암호화

7.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은 사용자가 직접 상호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토콜을 다룹니다. 이 계층은 웹 브라우저, 이메일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합니다.

  • 기능: 사용자가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
  • 프로토콜: HTTP, FTP, SMTP, DNS
  • 예시: 웹 브라우저, 이메일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TIME Ring-AX3000 설정 가이드  (1) 2025.07.14
IP 구조 및 기본 개념  (0) 2025.04.21
MAC ADDRESS  (0) 2025.04.21
AMD vs Intel 비교

AMD와 Intel 차이점 및 특징

1. 아키텍처 및 기술 설계 철학

AMD

  • Zen 아키텍처 시리즈: 높은 IPC 제공, CCX 기반 다코어 설계
  • Infinity Fabric: 칩렛 구조로 확장성 및 전력 효율 향상
  • GPU 통합: Radeon과의 통합 최적화 (예: Smart Access Memory)

Intel

  • Hybrid Architecture: P-core와 E-core 결합한 빅리틀 구조
  • Hyper-Threading: 하나의 코어에서 두 개의 스레드 처리 가능
  • 고속 캐시 및 Ring Bus: 빠른 코어 간 통신

2. 성능 비교 (2024년 기준)

항목 AMD Ryzen (Zen 4) Intel Core (13세대)
멀티코어 성능 뛰어남 (높은 코어/스레드 수) 상위 모델은 비슷하거나 근접
싱글코어 성능 매우 향상됐지만 Intel이 소폭 우위 여전히 강력한 IPC
전력 효율 우수한 전성비 고성능이지만 발열과 소비전력 높음
게이밍 성능 근소하게 뒤처질 수 있음 게임용으로 최적화된 클럭 설계
생산성/워크스테이션 렌더링, 압축, 멀티태스킹에 강함 일부 영역에서 동등 수준

3. 플랫폼 및 확장성

AMD

  • 소켓 호환성 유지 전략: AM4, AM5 소켓 장기간 유지
  • PCIe 5.0/4.0, DDR5 지원
  • 칩셋 자유도 높음: 중저가 메인보드도 오버클럭 지원

Intel

  • 소켓 및 칩셋 변경 주기 잦음: 세대간 호환성 낮음
  • DDR4/DDR5, PCIe 4.0/5.0 혼합 지원
  • 썬더볼트 및 고급 I/O 기술: 고속 데이터 전송 가능

4. 시장 전략 및 제품군

항목 AMD Intel
메인스트림 Ryzen 3, 5, 7, 9 Core i3, i5, i7, i9
HEDT / 워크스테이션 Threadripper, EPYC Xeon W, Xeon Scalable
GPU 연계 Radeon GPU / APU 통합 Arc GPU (초기 단계)
가성비 제품 경쟁력 높음 성능 대비 가격은 높음
게이밍 시장 전체적으로 강세 프리미엄 고클럭으로 우세

5. 보안, 드라이버, 생태계

  • 보안: Intel은 더 다양한 보안 기능 제공 (SGX, TXT 등), AMD는 더 단순한 보안 구조
  • 드라이버/호환성: Intel은 안정성 우위, AMD는 초기 드라이버 문제 존재

결론

용도 추천 브랜드 이유
게이밍 Intel 높은 싱글코어 성능, 프레임 안정성
콘텐츠 제작/렌더링 AMD 멀티코어 성능, 가성비
일반 가정/사무용 AMD 또는 Intel 가격 대비 성능 차이가 작음
고급 노트북 Intel 고성능 + 전력 효율
서버/가상화 AMD 높은 코어 수, 전성비 우수

'PC > 관련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R vs GPT 비교  (0) 2025.04.21
파일 시스템 비교(FAT16, FAT32, NTFS, .....)  (0) 2025.04.21
UEFI vs 레거시 BIOS 차이점  (0) 2025.04.21
MBR vs GPT 비교

MBR vs GPT 비교

1. 기본 개요

항목MBRGPT
정의BIOS 기반의 전통적 파티션 구조UEFI 기반의 최신 파티션 구조
표준IBM PC 호환용 (1983년)UEFI 사양 일부 (Intel 제안)
위치LBA 0 (첫 섹터)LBA 1 이후 헤더 및 테이블

2. 구조적 차이

MBR 구조

  • 총 512 바이트
  • 부트스트랩 코드(446) + 파티션 테이블(64) + 시그니처(2)
  • 기본 파티션 최대 4개 (확장 파티션 사용 시 논리 파티션 가능)

GPT 구조

  • Protective MBR (LBA 0)
  • GPT Header (LBA 1)
  • Partition Entry Array (보통 128개 슬롯)

3. 용량 및 주소 지정

항목MBRGPT
최대 디스크 크기2.2TB9.4ZB 이상
LBA 주소 체계32비트64비트

4. 호환성 및 OS 지원

항목MBRGPT
BIOS 부트지원제한적 (CSM 필요)
UEFI 부트비권장/불가권장 및 기본
Windows 지원XP 이상7 이상 + UEFI 필요

5. 신뢰성 및 복구성

항목MBRGPT
백업 구조없음Primary / Backup GPT Header 존재
무결성 체크없음CRC32 사용

6. 보안 및 관리

  • MBR: 단순하지만 보안 취약, 부트섹터 감염 쉬움
  • GPT: GUID로 파티션 식별, 무결성 검증 및 복구 가능

7. 활용 시나리오

용도MBRGPT
레거시 BIOS 환경적합부적합
2TB 이상 대용량 디스크불가적합
서버/워크스테이션제한적기본

8. 실무 팁

  • 디스크 확인: diskpart → list disk
  • MBR → GPT 변환: diskpart → clean → convert gpt
  • GPT 사용 조건: UEFI 설정 + Secure Boot 등 확인 필요

9. 결론

시나리오권장 방식
최신 시스템 + 대용량GPT
구형 BIOS 시스템MBR
무결성과 복구 중요GPT

'PC > 관련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D vs Intel 비교  (0) 2025.04.21
파일 시스템 비교(FAT16, FAT32, NTFS, .....)  (0) 2025.04.21
UEFI vs 레거시 BIOS 차이점  (0) 2025.04.21
파일 시스템 비교

📁 파일 시스템 비교

파일 시스템 주요 특징 최대 파일 크기 최대 볼륨 크기 호환 운영체제
FAT16 1980년대 후반 개발, 단순 구조 2GB 2GB ~ 4GB
  • ✅ Windows (전 버전)
  • ✅ DOS
  • ✅ macOS, Linux
  • ✅ 디지털 기기
FAT32 FAT16의 개선판, 범용성 높음 4GB 2TB (최대 16TB)
  • ✅ Windows (98~11)
  • ✅ macOS, Linux
  • ✅ 게임기, 스마트TV
exFAT 플래시 메모리용 최적화, FAT32 보완 16EB (이론) 128PB 이상
  • ✅ Windows XP SP2 이상
  • ✅ macOS 10.6.5 이상
  • ✅ 일부 Linux, Android
NTFS Windows 전용 고급 파일 시스템 16TB ~ 256TB 최대 256TB
  • ✅ Windows 2000 이상
  • 🟡 macOS (읽기만)
  • 🟡 Linux (읽기/쓰기 일부 제한)
HFS+ 기존 macOS 파일 시스템 8EB 8EB
  • ✅ macOS
  • ❌ Windows (드라이버 필요)
APFS macOS 최신 파일 시스템 (SSD 최적화) 8EB 8EB
  • ✅ macOS 10.13 이상
  • ❌ Windows
  • 🟡 Linux (읽기만 가능)
💡 선택 팁:
USB 드라이브는 FAT32 또는 exFAT, 대용량 파일은 exFAT 또는 NTFS가 좋습니다.
Windows만 쓸 거라면 NTFS, macOS만 쓴다면 APFS를 추천합니다.

'PC > 관련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D vs Intel 비교  (0) 2025.04.21
MBR vs GPT 비교  (0) 2025.04.21
UEFI vs 레거시 BIOS 차이점  (0) 2025.04.21
UEFI vs 레거시 BIOS 차이점

UEFI vs 레거시 BIOS 차이점

📌 요약 비교표

항목 레거시 BIOS UEFI
등장 시기 1970~80년대 2000년대 이후
부팅 방식 MBR GPT
지원 디스크 크기 최대 2TB 9ZB 이상
파티션 수 최대 4개 128개 이상
부팅 속도 느림 빠름
UI 텍스트, 키보드만 그래픽, 마우스 지원
보안 없음 Secure Boot 등 지원
확장성 제한적 드라이버, 네트워크 가능

📂 추가 정보

  • BIOS (레거시 모드): 구식 펌웨어, MBR만 지원, 제한된 기능
  • UEFI: 최신 펌웨어 표준, GPT 기반, 보안/속도/확장성 우수

💾 MBR vs GPT 간단 비교

항목 MBR GPT
디스크 크기 최대 2TB 최대 9.4ZB
파티션 수 최대 4개 128개 이상
무결성 없음 CRC로 오류 검출 가능

🔍 내 컴퓨터 확인 방법

Windows에서 Win + Rmsinfo32 입력 → "BIOS 모드" 확인:

  • UEFI면 최신 방식
  • Legacy면 구형 BIOS

'PC > 관련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D vs Intel 비교  (0) 2025.04.21
MBR vs GPT 비교  (0) 2025.04.21
파일 시스템 비교(FAT16, FAT32, NTFS, .....)  (0) 2025.04.21
Windows 11 명령어 모음

Windows 11 명령어 100선+

Windows 11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구분하여 정리한 표입니다. 명령어는 CMD, PowerShell, 실행창(Win + R) 등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검색 팁:
명령어나 설명 중 일부 단어를 입력하여 관련 항목을 빠르게 찾아보세요. 예: disk, 서비스, 폴더, remote

📁 실행창 (Win + R) - 추가 명령어

🛠 시스템 도구 추가

#명령어설명
61perfmon성능 모니터
62devmgmt.msc장치 관리자
63diskmgmt.msc디스크 관리
64lusrmgr.msc로컬 사용자 및 그룹
65gpedit.msc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66secpol.msc로컬 보안 정책
67dxdiagDirectX 진단 도구
68tpm.mscTPM 관리
69optionalfeaturesWindows 기능 설정
70mrt악성 소프트웨어 제거 도구

📦 기본 앱 실행 추가

#명령어설명
71charmap문자표
72snippingtool화면 캡처 도구
73narrator내레이터
74shell:startup시작프로그램 폴더
75fonts글꼴 폴더
76intl.cpl국가 및 언어 설정
77powercfg.cpl전원 설정
78main.cpl마우스 속성
79control printers프린터 설정
80firewall.cpl방화벽 설정
Windows 11 명령어 모음

Windows 11 명령어 100선+

Windows 11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구분하여 정리한 표입니다. 명령어는 CMD, PowerShell, 실행창(Win + R) 등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실행창 (Win + R) - 추가 명령어

🛠 시스템 도구 추가

#명령어설명
61perfmon성능 모니터
62devmgmt.msc장치 관리자
63diskmgmt.msc디스크 관리
64lusrmgr.msc로컬 사용자 및 그룹
65gpedit.msc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66secpol.msc로컬 보안 정책
67dxdiagDirectX 진단 도구
68tpm.mscTPM 관리
69optionalfeaturesWindows 기능 설정
70mrt악성 소프트웨어 제거 도구

📦 기본 앱 실행 추가

#명령어설명
71charmap문자표
72snippingtool화면 캡처 도구
73narrator내레이터
74shell:startup시작프로그램 폴더
75fonts글꼴 폴더
76intl.cpl국가 및 언어 설정
77powercfg.cpl전원 설정
78main.cpl마우스 속성
79control printers프린터 설정
80firewall.cpl방화벽 설정

💻 CMD 명령어 - 추가

🌐 네트워크 추가

#명령어설명
81netsh wlan show profileWi-Fi 프로필 보기
82net use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83net view네트워크 컴퓨터 보기
84net time네트워크 시간 동기화
85pathping패킷 경로 분석
86telnet원격 접속 테스트
87ftpFTP 접속
88tftpTrivial FTP 사용
89net config네트워크 설정 확인
90net group도메인 그룹 보기

🛠 시스템 추가

#명령어설명
91bcdedit부팅 구성 관리
92regedit /E레지스트리 내보내기
93wmic cpu get nameCPU 정보 출력
94schtasks /query예약 작업 보기
95sc query서비스 상태 보기
96echo %username%사용자 이름 출력
97tree폴더 구조 보기
98cls콘솔 화면 지우기
99time /t시간 출력
100assoc파일 연결 확인

⚡ PowerShell 명령어 - 추가

📁 파일 시스템 추가

#명령어설명
101Out-File출력 결과 파일로 저장
102Add-Content파일에 내용 추가
103Get-Location현재 경로 보기
104Set-Location디렉터리 이동
105Measure-Object파일 크기 계산
106Get-Acl파일 권한 보기
107Set-Acl파일 권한 설정
108Get-ItemProperty파일 속성 확인
109ConvertTo-JsonJSON 변환
110Export-CsvCSV로 저장

⚙ 시스템 관리 추가

#명령어설명
111Get-ScheduledTask예약 작업 확인
112Enable-PSRemoting원격 PowerShell 활성화
113Get-LocalUser로컬 사용자 목록
114Get-LocalGroup로컬 그룹 목록
115Restart-Service서비스 재시작
116Disable-Service서비스 비활성화
117Start-Process프로세스 실행
118Get-WindowsFeature설치된 기능 보기
119Install-WindowsFeature기능 설치
120Get-EventViewer이벤트 뷰어 로그 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