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구조 및 기본 개념

IP 구조 및 기본 개념

1. IP 기본 개념

IP(Internet Protocol)는 인터넷 상에서 장치 간의 통신을 관리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하기 위한 주소 지정 방식을 제공합니다.

  • IP 주소: 각 네트워크 장치에 고유하게 할당되는 식별자입니다.
  • IPv4: 32비트 주소 체계로, 약 43억 개의 고유 주소를 제공합니다.
  • IPv6: 128비트 주소 체계로, 사실상 무한에 가까운 주소를 제공합니다.

2. IP 주소 구조

IP 주소는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뉘며, 이 두 부분은 네트워크의 크기와 구조에 따라 결정됩니다.

IPv4 주소

IPv4 주소는 32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네 개의 옥텟(octet)으로 표현됩니다. 각 옥텟은 8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0부터 255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시: 192.168.1.1

IPv6 주소

IPv6 주소는 128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8개의 16진수 그룹으로 표현됩니다. 예시: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

3. 서브넷 마스크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를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누는 역할을 합니다. 서브넷 마스크는 일반적으로 255.255.255.0과 같은 형태로 표현됩니다.

  • 네트워크 주소: 서브넷 마스크와 IP 주소의 AND 연산 결과로, 해당 네트워크의 시작점을 나타냅니다.
  • 호스트 주소: 네트워크 내에서 고유한 호스트를 식별하는 부분입니다.

4. IP 클래스

IP 주소는 여러 클래스에 따라 분류됩니다. 각 클래스는 네트워크의 크기나 용도에 따라 구분됩니다.

  • 클래스 A: 1.0.0.0 - 127.255.255.255, 대형 네트워크에 사용됩니다.
  • 클래스 B: 128.0.0.0 - 191.255.255.255, 중형 네트워크에 사용됩니다.
  • 클래스 C: 192.0.0.0 - 223.255.255.255, 소형 네트워크에 사용됩니다.

5. IP 라우팅

IP 라우팅은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할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라우터는 목적지 IP 주소에 따라 데이터를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 정적 라우팅: 관리자가 수동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 동적 라우팅: 라우터가 자동으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감지하여 라우팅 경로를 조정합니다.

6. 전문가 수준의 IP 지식

전문가 수준에서는 IP 주소의 세부적인 관리와 최적화 기술, 고급 라우팅 프로토콜,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VLSM(Variable Length Subnet Mask) 등을 다루게 됩니다.

  • NAT: 여러 장치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공유하도록 해주는 기술입니다.
  • VLSM: 서브넷 마스크의 길이를 유연하게 조정하여 IP 주소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기술입니다.
  • BGP: 대규모 네트워크 간에 경로를 교환하는 고급 라우팅 프로토콜입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ADDRESS  (0) 2025.04.21
OSI 7 Layer  (0) 2025.04.21
MAC 주소에 대한 상세 설명

MAC 주소에 대한 상세 설명

MAC 주소 (Media Access Control Address)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또는 네트워크 장비에서 하드웨어적으로 고유한 식별자입니다. 이 주소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서 장치를 식별하고, 물리적인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사용됩니다.

MAC 주소의 구조

MAC 주소는 48비트(6바이트) 길이로 구성됩니다. 이 48비트는 12개의 16진수로 표현되며, 두 개의 6자리 숫자로 나누어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00:14:22:01:23:45와 같은 형식입니다.

MAC 주소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앞 3바이트 (24비트): OUI (Organizationally Unique Identifier) — 제조업체를 고유하게 식별합니다.
  • 뒤 3바이트 (24비트): NIC 고유 식별자 — 특정 장비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MAC 주소의 형식

MAC 주소는 보통 3가지 형식으로 표시됩니다:

  • XX:XX:XX:XX:XX:XX (구분자로 콜론)
  • XX-XX-XX-XX-XX-XX (구분자로 하이픈 사용)
  • XXXXXXXXXXXX (구분자 없이 12자리 연속 숫자)

MAC 주소의 종류

MAC 주소는 다음과 같은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유니캐스트(Individual MAC Address): 특정 네트워크 장치를 가리키는 고유한 주소입니다.
  • 브로드캐스트(MAC Broadcast Address): FF:FF:FF:FF:FF:FF와 같은 주소는 네트워크 내의 모든 장치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브로드캐스트 주소입니다.
  • 멀티캐스트(MAC Multicast Address): 특정 그룹의 네트워크 장치에만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01:00:5E:XX:XX:XX와 같은 형식이 있습니다.

MAC 주소의 할당 및 사용

MAC 주소는 보통 제조업체에 의해 할당되며,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로부터 OUI를 할당받습니다. 이 OUI는 장치의 MAC 주소에서 첫 3바이트를 차지합니다.

또한, 네트워크 장치의 MAC 주소는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를 흔히 "MAC 주소 스푸핑"이라고 하며, 보안상 또는 네트워크 제어상 필요에 의해 사용됩니다.

MAC 주소 변경

MAC 주소는 물리적으로 하드웨어에 기록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리눅스에서는 ifconfigip link 명령어를 사용하여 MAC 주소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MAC 주소의 보안

MAC 주소는 보안 측면에서 몇 가지 우려 사항을 가지고 있습니다:

  • MAC 주소 스푸핑: 공격자가 자신의 MAC 주소를 변경하여 특정 장치인 것처럼 위장할 수 있습니다.
  • MAC 주소 추적: Wi-Fi 네트워크나 이동통신망에서 사용자의 이동을 추적하는 데 이용될 수 있습니다.

MAC 주소 필터링

네트워크에서 MAC 주소를 필터링하여 특정 장치만 접근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보안 방법이 있습니다. 이는 라우터나 스위치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지정된 MAC 주소 목록에 포함된 장치만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합니다.

MAC 주소와 IP 주소의 차이

MAC 주소: 하드웨어적 식별자이며, 네트워크 장치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각 장치마다 고유합니다.

IP 주소: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논리적 주소로,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해 장치들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IP 주소는 네트워크의 경로를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MAC 주소의 활용

MAC 주소는 네트워크 관리, 보안, 그리고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와 같은 프로토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ARP는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며, 네트워크에서 장치 간 통신을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구조 및 기본 개념  (0) 2025.04.21
OSI 7 Layer  (0) 2025.04.21
네트워크 7계층

OSI 모델: 네트워크 7계층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은 컴퓨터 네트워크의 통신 프로세스를 7개의 계층으로 나눈 모델입니다. 각 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의 특정 기능을 담당합니다. 아래에서 각 계층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물리 계층은 실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하드웨어적 요소를 다룹니다. 이 계층은 전기적 신호, 전송 매체, 케이블 등의 물리적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 기능: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기적/기계적 연결
  • 프로토콜: IEEE 802.3 (이더넷), IEEE 802.11 (Wi-Fi)
  • 예시: 케이블, 리피터, 스위치

2.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적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오류 검출 및 수정, MAC 주소 기반 통신을 담당합니다.

  • 기능: 데이터 오류 검출, MAC 주소 관리
  • 프로토콜: Ethernet, PPP (Point-to-Point Protocol), ARP
  • 예시: 스위치, MAC 주소

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경로를 선택하고 라우팅을 담당합니다. IP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 기능: 데이터 경로 선택 및 라우팅
  • 프로토콜: IP (Internet Protocol),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예시: 라우터, IP 주소

4.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은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고 흐름 제어 및 혼잡 제어를 통해 데이터의 순서와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 기능: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보장
  • 프로토콜: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 (User Datagram Protocol)
  • 예시: 포트 번호, TCP 연결

5. 세션 계층 (Session Layer)

세션 계층은 통신하는 두 시스템 간의 세션을 관리하고, 데이터 동기화와 복구 기능을 제공합니다.

  • 기능: 통신 세션 관리
  • 프로토콜: RPC (Remote Procedure Call), SMB (Server Message Block)
  • 예시: 로그인 세션, API 호출

6.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은 데이터 형식 및 표현 방식을 정의하며, 암호화, 압축 및 데이터 변환을 담당합니다.

  • 기능: 데이터 형식 변환, 암호화, 압축
  • 프로토콜: SSL/TLS, JPEG, MPEG
  • 예시: ASCII, JPEG, SSL/TLS 암호화

7.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은 사용자가 직접 상호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토콜을 다룹니다. 이 계층은 웹 브라우저, 이메일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합니다.

  • 기능: 사용자가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
  • 프로토콜: HTTP, FTP, SMTP, DNS
  • 예시: 웹 브라우저, 이메일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구조 및 기본 개념  (0) 2025.04.21
MAC ADDRESS  (0) 2025.04.21

+ Recent posts